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“연초부터 걱정이 많았죠? ‘월급 얼마나 오르나…?’
    슬쩍 올라도 생활엔 큰 변화 없을까 봐 마음이 무거웠습니다.
    하지만 드디어 2025년 7월 10일, 2026년 최저임금이 발표됐습니다.
    시급 10,320원, 작년보다 2.9% 인상된 금액인데요.
    월급으로 계산하면 2,157,880원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2026 최저임금

    1. 최저임금 인상률 한눈에 보기

    • 2025년 시급: 10,030원
    • 2026년 시급: 10,320원 (290원 인상)
    • 인상률: 2.9%
    • 월 환산액 (209시간 기준): 2,096,270원 → 2,157,880원 (+60,610원)

     

     

    2. 과거 인상률과 비교해 보면?

     

    2025년 인상률은 1.7%로 매우 낮은 편이었고, 2026년은 그보다 높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.
    최근 10년 평균 인상률은 약 5~7%로, 2.9%는 보수적인 인상이라는 평가입니다.

     

    연도 최저시급 인상률
    2023년 9,620원 +5.0%
    2024년 9,860원 +2.5%
    2025년 10,030원 +1.7%
    2026년 10,320원 +2.9%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3. 왜 이 금액으로 결정됐을까?

     

    이번 최저임금은 노동자, 사용자, 공익위원 모두가 합의한 결과입니다.
    17년 만에 표결 없이 결정된 것으로, 매우 이례적인 상황입니다.

    결정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반영되었습니다:

    • 최근 물가 상승세 완화
    • 자영업자의 인건비 부담 고려
    • 경기 둔화와 고용 상황
    • 민주노총의 시급 11,500원 요구 불수용

     

     

    4. 사람들의 반응은?

     

    ✅ 노동계

    민주노총 등은 “실질 생계 보장을 위한 인상”이 부족하다고 평가했습니다.
    시급 11,500원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.

    ❌ 사용자 측

    경영계와 자영업자들은 인건비 부담이 크다며, 동결 또는 최소 인상을 주장해 왔습니다.
    일부 자영업자는 직접 근무로 인건비를 줄이겠다는 현실적인 대응도 고려 중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5. 평균 상승률과 비교해 본다면?

    최근 10년 평균은 약 5~7% 사이였으며, 2026년 인상률은 중하위권에 해당합니다.
    물가와 생활비 상승 속도를 고려하면, 여전히 실질 구매력 개선은 제한적이라는 지적도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🚨 주휴수당 계산도 중요합니다!

   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주휴수당도 지급됩니다. 시급 계산 시 반드시 포함해보세요.

     

     

    ✅ 요약 정리

     

    항목 내용
    2025년 시급 10,030원
    2026년 시급 10,320원 (+2.9%)
    월급 기준 2,157,880원 (209시간 기준)
    노동계 요구 11,500원 (약 +14.7%)
    전문가 평가 합의는 긍정적이나 인상폭은 낮음

     

     

    📌 함께보면 좋은 글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